반응형
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성격이 나빠지는걸 경험할수 있습니다. 내가 이렇게 포기가 빠른 인간이었는지 새삼 절망스럽기 도 하구요. 저와 같은 분들을 위해 제가 오류에 맞서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 다른 좋은 방법이 있는 분들이 계시다면 자유롭게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:).
1. 어디서 오류가 났는지부터 찾는다.
이것만 잘 찾아도 절반은 해결했다고 봐도 된다. F9(중단지 표기), F10(함수에 들어가지 않고 한줄씩 실행), F11(함수에 들어가서 한줄씩 실행)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찾아낸다.
2. 변수의 값 확인해보기
오류가 날 가능성이 있는 변수들을 출력해본다. 중간에 runtime error가 발생하더라도 오류가 난 지점까지의 변수 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변수의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있다.
3. 오류가 날 가능성이 있는 부분 지우고 실행해보기
만약 어떤 부분의 오류인지 모호하다면 오류가 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지우고 실행해보자. 그러면 오히려 예상하지 못한 다른 부분에서 오류가 났음을 찾아낼 수 도 있다.
앞으로 더 생기면 추가하겠습니다.
반응형
'알고리즘 공부 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카카오 블라인드 코딩테스트 후기 (0) | 2020.09.13 |
---|---|
백준 2580: 스도쿠 문제해결 (C++) (0) | 2020.08.20 |
2020-0819 "백준 2580번: 스도쿠"를 풀며 (0) | 2020.08.19 |